THE CROWN
'Wolferton Splash' 2
__________
지난 시간에는 엘리자베스 공주 결혼식 전까지 있었던 요소들을 같이 살펴봤다. 영국의 계급, 가터 기사단과 훈장 그리고 엉겅퀴 기사단과 그 훈장에 대해서 알아봤다. 드라마 자체에 대해서 설명하라 하면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후기를 적어서 올렸다. 이미 언급을 했듯, 필자는 영국의 요소들을 담아낸 '작은 것'에 초점을 맞췄다. 오늘은 영국의 핵심 정당과 애국가에 대해 소개를 하려고 한다.
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공주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도착하기 전, 윈스턴 처칠이 먼저 이곳에 도착한다. 내리자마자 대중의 격렬한 환영을 받는다. 그가 온 것을 눈치채고 두명의 사람들이 성가대(Quire)석에서 내려온다. 그러나 앤서니 이든과 나머지 한 사람은 결혼식장에 들어오는 처칠을 반기지 않는다. 참고로 정부 인사들이나 성직자는 대게 성가대석 옆쪽과 뒤쪽에 앉는다.
좌측에 있는 사람이 바로 '앤서니 이든 (Anthony Eden)'이다. 그는 영국 보수당 계열의 정치인으로 2차대전 시기 외무장관으로 지내면서 명성을 떨친다. 전후인 55년도부터 57년도 사이 영국 수상직을 지냈다. 수에즈 운하 사건으로 내각의 큰 치명타를 입고 나중에는 사퇴한다. 외무장관으로 명성과는 다르게 수상으로서 평가는 나쁘다.
더 크라운을 좀더 깊게 보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영국의 정당들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드라마의 스토리는 영국의 왕실 뿐만 아니라 정부까지 초점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영국에는 크게 보수당과 집권당이 있다. 현재 보수당의 대표는 '테레사 메이'이며 동시에 영국의 수상을 지내고 있다. 보수당의 정확한 명칭은 '보수연합당 (영어: Conservative and Unionist Party)'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소위 '보수당'이라고 한다. 또한 영국의 보수주의와 영국연합주의를 지향하는 중도우파 정당이다. 보수당은 리버트 필이 기존 토리당을 현대화시키기 위해 창당했으며, 영국 제국주의 시대를 이끈 밴저민 디즈레일리, 제 2차 세계대전 중 전시 내각을 이끈 윈스턴 처칠, 신자유주의를 도입해 영국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한 마가릿 대처등 유명한 총리를 배출해 냈다.
윈스턴 처칠이 온것을 보고 반응을 보인 또 다른 사람은 '클레멘트 애틀리(Clement Richard Attlee)'이다. 당시 영국 수상직을 맡고 있었다. 앤서니 이든과 윈스턴 처칠과는 다르게 노동당 출신의 정치인이다. 45년부터 51년까지 영국의 수상을 지낸다. 총리직을 재임하면서 노동당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재선에 성공한 총리이며, 처음으로 보수당을 상대로 의회에서 과반을 확보한 것도 이 시절이다. 하지만 오늘 보는 장면에서는 처칠과 대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윈스턴 처칠이 이곳에 왔을 대는 대중이 일어서는 환영을 받지만, 반대로 수상은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결국 얼마가지 않아 윈스턴 처칠이 다시 수상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노동당은 사회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영국의 중도좌파 정당이다. 보수당과 함께 영국의 양당을 상징힌다. 당은 상대적으로 최근인 1900년에 제임스 키어 하디가 노당자의 정치 진출을 위해서 창당했다. 1920년에 자유당을 제치고 영국의 양당으로 자리를 잡으며, 자유당은 자취를 감춘다. 노동당 소속인 클레멘트 애틀리(위)는 국민 건강 보험을 실시했고, 나중에 해럴드 윌슨, 토니 블레어가 영국의 수상 자리에 오른다. 최근에는 제리미 코빈 대표 체제를 통해서 17년도 영국 총선에서 262석의 의석수를 차지하게 되어 여당을 넘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윈스턴 처칠은 바로 들어가지 않고 기다렸다가 영국의 애국가인 'I vow to thee my country' 반주에 맞춰서 성당으로 들어간다. '내 조국이여, 나 그대에게 맹세하노라'는 영국의 공식 국가인 'God Save The Queen'에 다음가는 국가이다. 1921년 구스타브 홀스트의 '행성 모음곡' (클래식) 중 4악장 목성에 '세실 스프링 라이스'의 시를 붙여 노래한 것이다. 공식 국가인 'God Save The Queen'과 다르게 군주를 찬양하는 내용이 없다. 국가에 대한 맹세를 담은 가사이기 때문에 여왕(군주) 자신도 이 곡을 불러야 한다.
가사의 마지막에 이런 내용이 있다. 'And her ways of gentleness, and all her paths are peace, 조국의 길은 인자함이며, 그 모든 길은 평화의 길이로다'. 이 가사는 성경의 잠언 3장 17절 말씀에서 가져왔다. 'Her ways are ways of pleasantness, and all her paths are peace" (KJV), '그 길은 즐거운 길이요 그의 지름길은 다 평강이니라'. 성경에서 말하는 'Her'는 지혜를 상징한다. 드라마에서 들려지는 음원은 '웨스트민스터 사원 성가대'에서 발행한 음반을 사용한 것으로 추측한다.
- _____
- I vow to thee, my country, all earthly things above,
- 조국이여, 나 그대에게 맹세하노라. 이 세상 모든 것 가운데
- Entire and whole and perfect, the service of my love;
- 가장 완전하고 모자람이 없으며 완벽한 조국이여. 내 사랑의 헌신을,
- The love that asks no question, the love that stands the test,
- 아무것도 묻지 않는 사랑을, 그 시험까지도 견뎌내는 사랑을,
- That lays upon the altar the dearest and the best;
- 제단 위에 놓인 가장 경애하고 지고의
- The love that never falters, the love that pays the price,
- 흔들리지 않는 사랑을, 그 은혜에 보답하는 사랑을,
- The love that makes undaunted the final sacrifice.
- 용감하게 해주는 사랑을, 마지막 희생을,
- _____
- I heard my country calling, away across the sea,
- 나는 조국의 부름을 받아 바다를 건너 떠나네.
- Across the waste of waters she calls and calls to me.
- 망망대해를 건너 그대는 나를 부르고 또 부른다.
- Her sword is girded at her side, her helmet on her head,
- 조국의 검을 그 옆에 차고, 조국의 투구를 그 머리에 쓰며
- And round her feet are lying the dying and the dead.
- 그 발치에는 죽어가는 자들과 죽은 자들이 있네.
- I hear the noise of battle, the thunder of her guns,
- 나는 전투의 소리를, 조국의 우레 같은 총성을 듣네.
- I haste to thee my mother, a son among thy sons.
- 그대의 아들 가운데 하나인 나는 어머니를 위하여 서두른다.
- _____
- And there's another country, I've heard of long ago,
- 그리고 또 하나의 나라가 있네. 오래전부터 들었던
- Most dear to them that love her, most great to them that know;
- 조국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이 그리며, 조국을 사랑했던 모든 이들에게 가장 위대했던,
- We may not count her armies, we may not see her King;
- 우리는 조국의 군대를 세어보지도, 조국의 임금님을 뵙지도 않으리라.
- Her fortress is a faithful heart, her pride is suffering;
- 그 요새는 신실한 마음, 조국의 긍지가 상처받고 있다.
- And soul by soul and silently her shining bounds increase,
- 마음에서 마음으로 그리고 조용하게, 조국의 빛나는 약동이 커지고
- And her ways are ways of gentleness, and all her paths are peace.
- 조국의 길은 인자함이며, 그 모든 길은 평화의 길이로다.
오늘의 이야기를 마치기 전, 한 가지만 더 보고 가자. 위의 장면은 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공주가 막 도착하는 장면이다. 화면을 자세히 보면 가장 왼쪽에 빨간색 복장을 입은 사람이 보인다. 이 사람은 'Yeomen' 이라고 하며, 과거 영국의 한 계급이었다. 이 계급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자세히 하겠다. 복장을 자세히 보게 되면 'G VI R'이라고 적혀져 있다. 이는 'George VI(6) Regina'를 의미한다. 'Regina'는 라틴어로, '군주'를 상징한다. 현재 영국의 곳곳에서 'E II R'을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조지 6세를 이어 왕위를 물려받은 현 엘리자베스 2세를 상징한다.
오늘은 영국의 대표 정당과 시대의 인물 그리고 영국의 애국가(비공식)와 왕실 상징을 간단하게 살펴봤다. 오늘 아쉽게 다루지 못한 부분들은 다음번에 더 자세히 다루겠다.
'STORY > Klesis Y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Drawing - 06/10/2017 (0) | 2017.10.07 |
---|---|
Making Apple cool again. (0) | 2017.10.03 |
To create something genuinely new, (0) | 2017.10.01 |
iMac (0) | 2017.10.01 |
2017 픽사 신작 'COCO' (0) | 2017.10.01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